말라리아 증상, 이럴 땐 의심해보세요!

여름 휴가철, 해외여행 계획 세우시는 분들 많으시죠? 들뜬 마음으로 떠난 여행에서 뜻하지 않은 질병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하지만, 열대 지방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말라리아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오늘은 말라리아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예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고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을 준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말라리아, 도대체 왜 걸리는 걸까요?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발생하는 급성 열성 질환입니다. 서울아산병원의 질환백과에 따르면, 말라리아는 세계 인구의 40%인 20억 명이 말라리아 오염 지역에 살고 있으며, 매년 1억 5천만 명의 환자가 발생할 정도로 흔한 질병이라고 합니다. 특히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매년 5세 미만 어린이가 100만 명 넘게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될 정도로 치명적인 질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중반에 사라졌던 삼일열 말라리아가 1993년부터 다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휴전선 접경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 증상 확인, 이럴 땐 의심해 보세요!

말라리아의 대표적인 증상은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등입니다. 감기와 비슷해서 헷갈리기 쉽지만, 말라리아는 특징적인 발열 패턴을 보입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에서 주로 발생하는 삼일열 말라리아는 하루는 열이 나고 하루는 열이 없다가 다시 그 다음 날 열이 나는 식으로 3일 주기로 발열이 반복됩니다. 반면 열대열 말라리아는 발열 주기가 불규칙적이며, 심한 경우 뇌성 혼수, 간질성 폐렴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말라리아 위험 지역 방문 후 의심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말라리아 잠복기, 언제쯤 증상이 나타날까요?

말라리아는 원충의 종류에 따라 잠복기가 다릅니다. 삼일열 말라리아는 짧게는 720일, 길게는 612개월의 잠복기를 거치며, 열대열 말라리아는 9~14일 정도의 잠복기를 가집니다. 잠복기가 길기 때문에 말라리아 위험 지역을 다녀온 후 시간이 지나도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말라리아 진단과 치료,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말라리아는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말라리아 원충 종류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항말라리아제를 복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조기에 치료하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말라리아 예방법, 미리 알고 대비하세요!

말라리아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말라리아 위험 지역 여행 전 의사와 상담하여 예방약을 처방받고,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밝은 색의 긴 옷을 착용하며, 잠잘 때는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말라리아 종류 주요 증상 잠복기
삼일열 말라리아 3일 주기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720일 (최대 612개월)
열대열 말라리아 불규칙적인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9~14일

오늘 알아본 내용 어떠셨나요? 말라리아는 예방이 중요한 질병이지만, 증상을 알고 빠르게 대처한다면 충분히 치료 가능합니다. 이 글이 말라리아 예방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더 자세한 정보는 질병관리청 웹사이트를 참고하세요!